마케팅 데이터 분석가가 되기 위해 구글 애널리틱스(GA)와 구글 태그 관리자(GTM)를 공부하면서, 많이 헤매고 많이 삽질을 해왔습니다. 아직 저도 배우는 입장이지만, 이제 막 시작하시는 분들을 위해 최대한 자세하게 GA와 GTM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GA와 GTM이 무엇인지, 어디에 쓰이는지는 검색을 통해 자세하게 알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GA를 먼저 시작하는게 맞지만, 나중에 GTM을 공부하시게 될테니 GTM을 먼저 설치하고 GTM을 통해 GA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준비물]
- 구글 계정
- 크롬 브라우저
- 약간의 HTML 지식
- 웹페이지 또는 설치형 블로그(티스토리, 워드프레스 등)
1. 구글 계정이 필요합니다. 구글 계정을 만들거나 (계정이 있으시다면) 로그인 한 뒤, GTM 페이지에 접속해 주세요.
2. 구글 태그 관리자의 첫화면입니다. 계정 이름, 컨테이너 이름, 컨테이너 사용 위치를 설정한 후, 만들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3.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GTM 추적 코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웹페이지(또는 블로그)의 <head>와 <body>안에 코드를 붙여넣으라고 하네요. 저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통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두 태그 중 첫번째 태그를 복사해 주세요.
4. 티스토리의 블로그 관리 페이지의 꾸미기 카테고리의 HTML/CSS 편집을 클릭하여 스킨편집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ead> 태그 안에 복사했던 코드를 붙여넣기 합니다. 가능한 높은 위치에 붙여넣으라고 했지만, 저는 그냥 최하단에 넣도록 하겠습니다(CTRL+F로 </head>를 검색해 바로 위에 붙여넣기).
5. 다시 GTM 페이지로 돌아가 두번째 태그를 복사한 뒤, <body>태그 바로 뒤에 코드를 붙여넣고 저장을 눌러주세요.
(CTRL+F로 <body 검색해 바로 뒤에 붙여넣기).
6. 설치 끝. 제대로 설치가 되었는지 크롬 확장 프로그램인 Tag Assistant를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Tag Assistant 설치 후 Tag Assistant 아이콘을 클릭하면 GTM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 데이터 분석을 위한 첫걸음인 GTM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한다고 했는데 쉽지가 않네요. 다음은 GTM을 통해 GA를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GA & GTM'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필터 적용하기 (0) | 2018.01.15 |
---|---|
#06 보기(View) 나누기 (0) | 2018.01.14 |
#05 맞춤 보고서 (0) | 2018.01.13 |
#03 GA 주요 지표 알아보기 (0) | 2018.01.12 |
#02 GTM으로 GA 설치하기 (0) | 201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