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GA의 주요 지표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A를 공부하기 위해 책도 많이 읽고, 유튜브 영상도 보고 했지만 직접 이것 저것 만져보고, 검색을 통해 실무자들이 어떻게 GA를 활용하고 어떤 지표를 확인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좀 더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GA의 하나부터 열까지 설명드리는 것보다 주요 지표나 기능들을 설명해 드리는 것이 더 나을 것 같네요. (귀찮은건 절대 아닙니다.)
* 시작하기에 앞서, GTM이나 GA 설치는 설치형 블로그인 티스토리 블로그를 통해 설명드렸지만 이제 막 시작한 블로그라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GA에 대한 설명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데모 계정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GA 데모 계정 설치하기
실무자라면 자사 서비스의 데이터를 사용하면 되지만, 학생이나 취업준비생은 데이터를 얻기가 어렵죠. 티스토리 블로그는 초대장이 없으면 계정을 만들 수 없고, 그렇다고 워드프레스로 홈페이지를 만들기도 좀 그렇고.. 네이버 블로그는 HTML을 수정할 수 없어 GA 코드를 설치할수도 없고요.
이런 분들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GA 데모 계정을 설치하여 Google merchandise store의 데이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먼저 GA 데모 계정을 설치하세요. (링크에서 설명하시는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GA를 잘 모르시는 분들이 보면 좋은 자료를 공유합니다.
지금은 카카오가 인수한 넘버웍스의 하용호님의 오늘 밤부터 쓰는 GA 입니다.
GA의 주요 지표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좌측 보고서 메뉴의 잠재고객 보고서와 행동 보고서의 개요를 보면 사용자, 페이지뷰, 세션 등 몇가지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말은 거창하게 주요 지표라고 했지만, 기본 지표들에 대해서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사용자
말그대로 사용자입니다. 구글은 쿠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합니다. 쿠키는 웹페이지 접속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임시파일로, 용량이 작고, 쿠키를 먹으면 떨어지는 부스러기 같다고 하여 쿠키라고 부른다고 하네요.
쿠키를 기반으로 고유한 값(id)을 부여 받아 사용자를 카운팅 하기 때문에, 같은 id를 부여 받은 사용자는 페이지를 아무리 많이 클릭해도 하루에 한 번만 카운팅 됩니다. (쿠키의 유효기간은 2년.)
첫번째 사진의 우측 파이차트를 보면 New Visitor와 Returning Visior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방문자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다면 재방문율을 높이는 마케팅을 해야겠죠?
2. 세션
세션은 쉽게 말해 방문 수 입니다. 그러나 세션은 사용자와는 다르게 만료 기간이 있어요. GA에서 기본으로 설정한 시간은 30분이에요. 사용자가 마지막 행동을 한 시점으로부터 30분이 지나면 세션은 만료되며, 세션이 만료된 이후 다시 방문했을 때 다시 한번 세션이 카운팅 됩니다. 1사용자 2세션 즉, 한 명의 사용자가 두 번 방문한거죠. 때문에 세션 수는 방문자 수보다 큰 수치를 보이게 됩니다.
간혹 페이지 뷰 수는 높은데 세션은 낮은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는 GA가 모든 페이지에서 세션을 카운팅 하는게 아니라 첫 페이지에서만 세션을 카운팅하기 때문이에요.
5. 페이지 뷰
페이지 뷰는 조회한 페이지의 수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1명의 사용자가 30분 동안 10페이지를 조회했다면, 1 사용자 1세션 10페이지 뷰가 되겠죠. 페이지 뷰 수치가 높다고 마냥 좋기만 한 것은 아니에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한 페이지에 있지 않고 여기저기 분산되어 있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는거죠.
페이지뷰는 업종, 해당 페이지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6. 순 페이지 뷰
중복을 제외한 페이지 뷰입니다. 동일한 사용자가 한 세션 동안 동일한 페이지를 여러번 조회했어도, 순 페이지 뷰는 한 번만 카운팅 됩니다. 간혹 순 페이지 뷰와 세션이 동일한 수치를 보인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앞서 말한 것처럼 세션은 첫 페이지에서만 카운팅 되므로 보통은 순 페이지 뷰가 세션보다 높은 수치를 보입니다.
7. 이탈률 (혹은 반송율)
이탈률은 사용자가 행동을 하지 않고 페이지를 떠난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 경우 세션 시간은 0초이며, 이탈률이 낮아야 좋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다만 블로그와 같이 한페이지 안에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우 높은 이탈률이 비정상적이라고 할 수는 없겠죠?
이탈률이 다른 페이지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높은 페이지가 있다면 해당 페이지를 개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8. 종료율
온라인 쇼핑몰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사용자는 메인 페이지 - 회원가입 페이지 - 상품 페이지 - 결제 페이지 - 결제 완료 페이지의 흐름으로 페이지를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종료되는 페이지는 결제 완료 페이지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결제 완료 페이지가 아닌 결제 페이지의 종료율이 높다면 결제 진행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해 사용자가 페이지를 떠난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이 경우 결제 테스트를 통해 결제에 문제가 없는지 파악해 볼 수도 있고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 기능을 추가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킨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GA의 8가지 지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 밖에도 GA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표는 매우 다양합니다. 사실 지표를 많이 아는 것보다 GA를 통해 우리 서비스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등의 인사이트를 얻어 내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데모 데이터를 통해 이것저것 만져보고 익숙해지면 지표들은 자연스럽게 알게 되실 겁니다. 아마도요.. 다음에는 디멘션과 메트릭에 대해 소개할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GA & GTM'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필터 적용하기 (0) | 2018.01.15 |
---|---|
#06 보기(View) 나누기 (0) | 2018.01.14 |
#05 맞춤 보고서 (0) | 2018.01.13 |
#02 GTM으로 GA 설치하기 (0) | 2018.01.11 |
#01 GTM 설치하기 (0) | 201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