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필터를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확한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서는 우리 회사 직원들이 접속하는 내부 트래픽 데이터와 봇(bot), 스팸(spam) 등의 데이터를 제외해야 합니다.
필터링의 필요성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고객들이 어떤 키워드로 우리 사이트에 방문하는지를 알아본다고 가정하겠습니다.
획득 > 캠페인 > 자연 검색어 를 통해 검색 키워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제 블로그는 #04 디멘션과 메트릭, 보고서, 디멘션, 티스토리 블로그차트 등의 검색어를 통해 유입이 되었네요.
그런데 #04 디멘션과 메트릭은 네이버 사이트 등록 후 제 블로그가 노출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가 검색한 키워드입니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세션당 페이지 수와 평균 세션 시간 때문에 평균 세션당 페이지 수와 평균 세션 시간이 올라갔네요. 이처럼 정확한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서는 내부 트래픽 필터와 봇, 스팸 필터 등을 적용해야 합니다.
먼저, GA에서 제공하는 필터링을 적용해보겠습니다.
1. 관리 > 설정 보기를 클릭 합니다.
2. 하단의 봇 필터링 체크박스 체크 후 저장합니다.
다음으로 구글에서 제공하는 필터 외의 봇, 스팸 트래픽을 제외해 보겠습니다.
Stack over flow 등의 개발자 커뮤니티에 검색해보면 아래와 같은 정규식으로 구성된 필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 정규식을 공부하지 않으신 분들은 뭐가 뭔지 잘 모르실거에요. (저도 아직 정규식은 잘 모르네요 ㅠㅠ) 그냥 복사-붙여넣기로 필터를 적용하고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1
.*((darodar|priceg|semalt|buttons\-for(\-your)?\-website|makemoneyonline|blackhatworth|hulfingtonpost|o\-o\-6\-o\-o|(social|(simple|free|)\-share)\-buttons)\.com|econom\.co|ilovevitaly(\.co(m)?)|(ilovevitaly(\.ru))|(humanorightswatch|guardlink)\.org).*
#2
.*((best(websitesawards|\-seo\-(solution|offer))|Get\-Free\-Traffic\-Now|googlsucks|theguardlan|webmaster\-traffic)\.com|(domination|torture)\.ml|((rapidgator\-)?(general)?porn(hub(\-)?forum)?|4webmasters)\.(ga|tk|org|uni)|(buy\-cheap\-online)\.info).*
#3
.*event\-tracking\.com.*
세개의 필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1. 먼저 관리 > 필터 > +필터 추가를 클릭합니다.
2. 필터 이름을 입력한 뒤, 아래와 같이 필터 유형을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필터 유형을 선택해 주세요.
* 맞춤 > 제외 > 필터입력란: 추천
3. 필터 패턴의 입력란에 #1 정규식을 복사-붙여넣기 후 저장합니다.
.*((darodar|priceg|semalt|buttons\-for(\-your)?\-website|makemoneyonline|blackhatworth|hulfingtonpost|o\-o\-6\-o\-o|(social|(simple|free|)\-share)\-buttons)\.com|econom\.co|ilovevitaly(\.co(m)?)|(ilovevitaly(\.ru))|(humanorightswatch|guardlink)\.org).*
4. 같은 방법으로 #2, #3의 필터도 만들어 주세요.
마지막으로 내부 트래픽을 필터링 해보겠습니다.
1. 블로그나 개인 웹사이트인 경우
검색포털에 "내 IP" 등으로 검색을 하면 현재 사용 중인 IP 주소를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알아낸 IP주소를 복사 한 뒤, GA에 접속하여 관리 > 필터를 클릭합니다. (일단 Test View에 적용 후 Master View에도 적용하겠습니다.)
+필터 추가를 클릭하고 필터 이름을 입력한 뒤 아래와 같이 필터 유형을 선택하고 IP 주소 입력란에 복사해 둔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 사전 정의 됨 > 제외 > 해당 IP 주소에서 유입된 트래픽 > 일치
2. 회사 웹사이트 등 다수의 내부 접속자가 있는 경우
이 경우에는 정규식을 사용해야 하는데, 회사의 개발팀의 도움을 받으세요. 만약 개발팀이 없는 회사라면 IP 스캐너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중인 IP 대역을 확인 후,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정규식을 만들어 필터링 하시면 됩니다.
IP Range Regular Expression Builder
IP 주소의 정규식을 알아냈다면, 관리 > 필터 > +필터 추가를 클릭하시고 필터 이름을 입력한 뒤, 필터 유형을 아래와 같이 선택해 주세요.
* 맞춤 > 제외 > 필터입력란: IP주소
그리고, 필터 패턴의 입력란에 정규식을 입력 후 저장해 주세요.
GA를 계속 사용하시다보면 정규식을 쓸 일이 많아지게 될거에요. 저는 다니던 회사에 개발자가 있었기 때문에 정규식을 따로 공부하진 않았지만, 앞으로 정규식을 공부할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Test View에 내부 트래픽 제외 필터 및 봇, 스팸 제외 필터를 적용해봤습니다. 끝으로 만들어 놓은 필터들을 Master View에도 적용시켜 보겠습니다.
1. 관리 > 모든 필터를 클릭합니다.
2. 만들어 놓은 필터를 클릭하고 아래의 사진처럼 Master View에도 필터를 추가합니다.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하려고 했는데 쉽지가 않네요. 한번 쌓인 데이터는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Master View에 필터를 적용하기 전에 Test View에 적용하고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Master View에 적용하세요.
다음은 대시보드 생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GA & GTM'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번외, 네이버 사이트 등록 (0) | 2018.01.17 |
---|---|
#08 대시보드 만들기 (0) | 2018.01.15 |
#06 보기(View) 나누기 (0) | 2018.01.14 |
#05 맞춤 보고서 (0) | 2018.01.13 |
#03 GA 주요 지표 알아보기 (0) | 2018.01.12 |